Web3

AI Agent Projects in Web3

Jaymyong66 2025. 4. 8. 15:57

- 이전 글: AI Agent의 동작방식 알아보기(With web2)

AI Agent in Web3

이전 글에서 소개한 것 처럼, Web2 환경에서의 AI Agent는 어쨋든 중앙화된 서버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특정 기업이나 기관이 통제하는 중앙화된 인프라에서 이루어집니다. 이런 구조에서 데이터 수집 정책 논란이나 개인 정보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2023년 OpenAI에서는 ChatGPT에서 사용자 대화 기록, 개인 식별 정보를 유출하기도 하고, 삼성의 회사 기밀을 유출하여 삼성에서는 GPT 사용 금지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2024년 Anthropic의 Claude에서도 외부 협력사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해 특정 사용자 대상 데이터가 유출 되기도 하였습니다. 2025년 1월에는 Deepseek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노출 이슈로 주가가 급락하는 사건이 있기도 했습니다.

 

중앙화된 서비스이기 때문에 ChatGPT서비스가 잠시 서비스를 중단하면 많은 사용자가 피해를 입기도 하였습니다. DeepSeek에서는 중국의 주석에 관련한 민감한 질문을 하면 제대로된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즉, 중앙 집중식 LLM인 경우에는 검열이나 편향된 출력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예시일 것입니다.

 

반면 AI Agent가 on-chain에서 동작할 때를 보겠습니다.

먼저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과 주권을 확보합니다. Web2 환경에서는 사용자 데이터가 플랫폼에 의해 통제되고, 플랫폼은 이를 기반으로 모델을 학습시키며 수익을 창출합니다. 하지만 정작 정보의 원천인 개인에게는 모델을 학습시켜줄 뿐 어떠한 혜택이 있지는 않습니다. on-chain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고, 중앙화된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로컬에서 처리하거나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데이터의 주권을 보장합니다. 특히 Web3에서는 지갑 주소 등 민감한 정보가 많기 때문에 데이터 주권 관련 이슈는 중요한 논제로 적용됩니다.

 

또 중앙 집중식 LLM은 해당 모델과 서비스를 소유한 특정 기업이나 기관이 통제하여 편향된 출력 결과나 검열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AI Agent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AI Agent의 모든 활동이 검증 가능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Defi 생태계처럼 on-chain AI Agent 생태계가 구축이 되면 동일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있는 다양한 AI 에이전트와 스마트 컨트랙트, DApp 간의 상호작용 또한 가능해져 마치 레고 블록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조합하여 사용 가능한 상호 운용성 또한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AI Agent가 Web3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 AI Agent가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하여 외부 데이터에 기반하여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악성 코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혹은 네트워크 혼잡도를 예측하여 트랜잭션 타이밍을 조절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만약 AI Agent를 여러 체인 생태계와 연결한다면, 최적의 체인을 선택해서 자산 라우팅을 자동화하거나 DEX 간 분배를 자동화해 수익을 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예측 시장에 활발한 기여를 할 수 있어 DeFi 분야에 많은 활용이 예상됩니다.

cf) MCP를 통한 Web2 모델 기반 Web3 작업 가능성

on-chain의 정보를 검색하고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등 기존 Web2의 AI보다 on-chain에서의 AI Agent가 더 특화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최근 등장한 MCP(Model Context Protocol)과의 결합으로 Web3 AI Agent on-chain 관련 작업이 수월해질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Base 네트워크의 MCP와 연동하여 이를 통해 지갑 관리, 디파이 자동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까지 온체인 업무가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GPT-4o 기반의 AI로 블록체인 상의 작업을 자유롭게 수행하도록 하였고, 그 구성 과정은 MCP를 통해 수월하게 설계 가능해보입니다.

 

해당 내용 관련 리서치는 추후 다음 글로 이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Web 3 AI Agent

AI Agent에 대한 체인별 마일즈 스톤, 투자 및 프로젝트 종류

on-chain AI Agent 토큰은 사실 이전부터 관심을 많이 받았고, 최근 밈코인이나 Web2의 AI 기업관련 이슈로 큰 가격 하락을 맞이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술 자체에 대한 기대감 하락은 아닐 것입니다. 분명히 많은 on-chain AI Agent 프로젝트가 온보딩 되고 있고, 관련 인프라는 지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on-chain Ai Agent 프로젝트는 크게 AI Agent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레임워크/플랫폼 성격의 프로젝트와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Agent 성격의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들의 관계는 아래에서 Web3 AI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더 알아보겠습니다.

1. Ethereum / Base Chain

이더리움측에서는 3월 26일 공식 홈페이지에 AI Agents를 소개하는 페이지를 추가하며, 블록체인과 상호작용하는 Agents 프로젝트에 대한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해당 페이지를 살펴보면 virtual influencer 이야기부터 autonomous content creators, real-time market analysis platform 등 여러 종류의 활용 예시를 소개합니다.

Ethereum homepage and twitter

Base Chain은 이더리움의 layer-2 솔루션으로 보다 빠르고 저렴한 트랜잭션을 제공하여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체인입니다. 이는 AI Agent가 대량의 데이터와 트랜잭션을 처리해야 하는 환경에서 유리합니다.

 

1) Virtuals Protocol

버추얼 프로토콜은 Base chain 기반 유저가 직접 AI Agent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즉, AI Agent를 토큰으로 자산화 할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토큰인 $VIRTUAL을 제공하며, Agent를 만드는데 해당 토큰을 지불합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자신만의 AI Agent를 만들거나 다른 유저와 공동 소유를 밈(meme) 토큰 생성만큼 쉽게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버추얼 프로토콜은 빠르게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앞서 소개했던 프로젝트 종류 중 인프라/플랫폼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로 여러 버추얼 에이전트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버추얼 프로토콜의 에이전트는 Luna와 aixbt가 있습니다.

 

핵심 기능으로는 AI Agent의 공동 소유권을 가능하게 하고 여러 플랫폼에서 동시에 존재하고 작동하는 AI 에이전트를 가능하게해 사용자에게 일관된 경험과 real-time adaptation을 제공합니다. 이를 Parallel Hypersynchronicity라고 합니다. 그리고 인지, 음성, 시각 코어와 같은 AI Agent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해 decentralized contribution을 가능하게 하여 협업하여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Modular Consensus Framework라고 합니다.

 

Virtuals Protocol이 지원하는 프로젝트 유형은 크게 4가지 입니다.

  1. 게임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AI 에이전트를 게임 환경에 플레이어 캐릭터(NPC) 또는 상호작용 요소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에이전트는 실시간으로 플레이어의 행동에 적응하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함으로써 게임 플레이를 향상시킵니다
  2. 소셜 미디어: Virtuals Protocol에서 생성된 AI 에이전트는 TikTok 또는 Instagram과 같은 플랫폼에서 디지털 인플루언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에이전트는 다중 모드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콘텐츠 제작을 통해 청중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메타버스 상호작용: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에서 Virtuals Protocol은 AI 에이전트가 가상 속성 관리나 이벤트 호스팅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몰입형 경험을 가능하게 합니다. 메타버스 생태계 내에서 디지털 상호작용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4. DApps: 개발자는 Virtuals Protocol 인프라 위에 DApps를 구축하여 AI 에이전트를 위한 사용 사례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는 대화형 AI 기반 교육 도구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용 가상 비서가 포함됩니다
  • Virtuals Protocol 마일스톤
2024 첫 번째 AI 에이전트인 루나를 도입했고, 출시 후 몇 달 만에 틱톡에서 5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확보 루나의 성공은 디지털 인플루언서로서 AI 에이전트의 상업적 가능성을 입증하고, 이후 에이전트 개발의 토대를 마련
2025 2024년 말까지 $VIRTUAL 토큰을 상장, 2개월만에 시가총액 30억 달러를 돌파 2025년 초, 생태계를 솔라나로 확장, 크리에이터에게 보상하기 위한 strategic reserves 같은 기능 도입

 

  • Virtuals Protocol 규모
    • 현재 가격: $0.6664
    • 시가총액 : $485.94M

2) G.A.M.E

Virtuals Protocol의 G.A.M.E 프레임워크는 개발자가 API 및 SDK를 통해 AI 에이전트에 쉽게 접근하고 실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량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프로젝트에서 AI 에이전트를 손쉽게 플러그 앤 플레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G.A.M.E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Agent Prompting Interface: AI 에이전트의 행동에 접근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며, 사용자와 AI 에이전트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Perception Subsystem: Agent Prompting Interface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AI 에이전트의 행동 생성을 위해 Strategic Planning Engine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시스템은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담당합니다.
  3. Strategic Planning Engine:  AI 에이전트의 고급 의사결정과 계획 수립을 담당하는 핵심 모듈입니다. 이 엔진은 다음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나뉩니다.
    • High Level Planner: Dialogue Processing Module을 통해 응답과 반응을 생성합니다.
    • Low Level Policy: 상위 수준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 가능한 행동으로 변환하며, 온체인 월렛과 연결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4. Long Term Memory Processor: 에이전트의 경험, 성찰, 성격, 세계 맥락, 작업 기억 등을 포함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세서는 중요도 점수, 최신성, 관련성 등의 기준으로 정보를 처리합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AI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멀티모달 방식으로 소통하며 다양한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 G.A.M.E 규모
    • 현재 가격: $0.01935
    • 시가총액: $19.01m
    • Liquidity: $3.93m
    • 홀더 수: 270,944

3) Luna

Luna는 Virtual Protocol에서 탄생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agent 프로덕트로,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위해 구축된 Web3의 첫번째 AI 인플루언서 플랫폼이라고 소개합니다. 이미 100만명 이상의 틱톡 팔로워를 보유했고, 30만명의 홀더를 유치하였습니다.$LUNA 토큰의 수익모델은 AI 인플루언서 라이선스, 콘텐츠 구독, 소액 결제등을 통합해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실제로 Story Protocol은 Luna를 SNS 계정 관리를 위해 고용했으며 Luna의 연봉은 36.5만 달러라고 합니다. AI Agent 경제가 앞으로 활발해질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사람과 달리 24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자율적으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 지원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Luna의 성공은 AI가 24/7 운영되고 사람의 개입 없이도 지속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 Luna Milestone
2025 Q1  AI 인플루언서 활동 - 브랜드, 크리에이터, web3 프로젝트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 생산 AI가 생성한 소셜 미디어 게시물, 24시간 연중무휴 AI 라이브 스트리밍, 자동화된 팬 참여 수익 모델: 프로젝트는 AI 인플루언서 라이선스를 위해 5%의 토큰을 할당 받음
2025 Q3  셀프 서비스 AI 크리에이터 플랫폼 - 노코드 AI 인플루언서 생성, 숏폼 동영상 및 라이브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2D/3D AI 에이전트 생성 트렌드 최적화를 통한 AI 기반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콘텐츠 생성 구독료 및 콘텐츠 생산을 위한 $LUNA 소액 결제를 통해 수익화

 

  • Luna 규모
    • 현재 가격: $0.009171
    • 시가총액: $8.95m
    • Liquidity: $2.07m
    • 홀더 수: 302,949

ch) 세 프로젝트의 관계성

Ethereum / Base Chain 진영의 프로젝트들을 조사하며 세 프로젝트가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하며 관계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on-chain Ai Agent 프로젝트는 크게 AI Agent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레임워크/플랫폼 성격의 프로젝트가 있고,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Agent 성격의 프로젝트가 있다” 라고 하였습니다.

 

Ethereum/Base Chain 생태계 내 세 프로젝트 Virtual Protocol, G.A.M.E, Luna는 계층적 구조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생태계를 완성합니다. Virtual Protocol이 블록체인 기반의 인프라 층으로 콘텐츠 창작 및 IP 관리의 토대를 마련한다면, G.A.M.E는 이 위에서 AI 에이전트의 거래와 협업 경제를 구축하는 중간층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Luna는 G.A.M.E의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최종 사용자에게 실용적인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층으로 기능합니다.

 

이러한 수직적 통합은 각 프로젝트가 서로의 경쟁력을 보완하며 시너지를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Virtual Protocol의 IP 관리 시스템은 G.A.M.E의 토큰 경제를 통해 창작자와 개발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Luna는 이를 최종 사용자 경험으로 연결함으로써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합니다. 특히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스마트 계약 기반 자동화는 AI 에이전트의 거래, 콘텐츠 소유권 증명, 보상 분배 과정을 신뢰할 수 있게 합니다.

 

결국 이 세 프로젝트는 "인프라 → 플랫폼 → 서비스"라는 3단계 프레임워크를 통해 Web3와 AI의 융합을 실현하는 것 같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연계를 넘어, 창작자, 개발자, 사용자 모두가 생태계의 성장에 기여하고 그 혜택을 공유하는 탈중앙화된 협업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어 보입니다. 향후 이 구조 위에 더 많은 AI 에이전트와 서비스가 추가된다면, 블록체인 기반 AI 생태계의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은 더욱 입증될 것입니다.

 

2. Solana

Solana에서도 이더리움/Base Chain과 유사한 AI 프로젝트들의 계층적 구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특히 ai16z와 ElizaOS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는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라는 3단계 프레임워크입니다. 또한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내장하여 AI 에이전트가 정보를 처리하고 학습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개발자는 프레임워크의 모듈식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자연어 처리부터 자동화된 의사 결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on chain 상호작용, 멀티 플랫폼 배포, 보안 키 관리와 같은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므로 개발자는 에이전트의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1) ElizaOS

ElizaOS는 솔라나 기반의 AI 에이전트들을 위한 기본 운영체제로, 이더리움의 Virtual Protocol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개발자들이 Discord, Twitter, Telegram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https://github.com/elizaOS/eliza

 

GitHub - elizaOS/eliza: Autonomous agents for everyone

Autonomous agents for everyone. Contribute to elizaOS/eliz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 ai16z

이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AI 주도의 분산자치조직(DAO)을 만들어 집단 투자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사용자들이 금융 시장에 더 쉽고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은 AI Agent가 관리하는 DAO에 자금을 모을 수 있으며, 이 펀드는 DeFi 프로토콜에 투자를 수행합니다. DAO 토큰의 가치는 펀드의 거래 성과에 따라 결정되며, 수익은 토큰 소유자에게 분배됩니다. 이는 투자 동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산 관리에 대한 커뮤니티 참여를 장려합니다.

  • ai16z 규모
    • 현재 가격: $0.1822
    • 시가총액: $200.44m

3) pmairca

pmairca는 Solana 기반의 AI 에이전트 투자 로봇으로, ai16z 프로젝트에서 출시한 주요 AI 에이전트 중 하나입니다. 이 AI 에이전트는 벤처 투자 분야에 특화되어, AI 기반 분산형 투자 조직은 고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ai16z DAO를 통해 유망한 프로젝트를 식별, 평가 및 투자합니다. 특히, 시장 데이터, 프로젝트 지표 및 커뮤니티 정서를 분석하여 정보에 입각한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4) Griffain

Griffain은 Solana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으로, AI 기술과 블록체인을 결합하여 디지털 자산 관리 및 거래를 지원합니다. 2024년 말 출시 이후, 그리핀은 100만 건 이상의 자동화된 트랜잭션을 처리했으며, 위스키 관련 거래를 위한 Agent Baxus, NFT 생성을 위한 Agent GM, 자동화 토큰 거래를 위한 Agent Sniper 등 여러 특화 에이전트를 배포했습니다. 플랫폼은 사용자 친화적이며,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제공하는 Solana의 고성능 인프라를 활용합니다.

Griffain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큰 스왑: 빠르고 효율적인 토큰 스왑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낮은 비용과 최소한의 지연 시간으로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유동성 제공: GRIFFAIN의 풀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보상을 획득합니다.
  • AI 에이전트 생성 및 관리: AI는 사용자가 자연어를 통해 온체인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장 분석, 자산 관리, 심지어 NFT 생성까지 더 간단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Solana Chain

GRIFFAIN이 Solana 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Solana는 초당 65,000건 이상의 트랜잭션(TPS)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블록체인이며 PoH(Proof of History) 메커니즘을 통해 트랜잭션 검증 기간을 단축합니다. 또 비교적 낮은 거래 수수료로 대량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 장점이 있습니다. 이외에 많은 장점이 있지만 결국 AI Agent가 온체인 상태업데이트를 할 때, 낮은 비용으로 잦은 AI 결과를 기록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 Griffain 마일스톤
2025 Q1 • Advanced agent customization tools
• Cross-chain agent deployment capabilities
• Enhanc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Additional specialized agents
2025 Q2 • Agent marketplace launch
• Improved coordination protocols
• Mobile app release
• Advanced analytics dashboard
2025 Q3 • Multi-agent orchestration tools
• Zero-knowledge privacy features
• Enterprise-grade API access
• Advanced risk management tools

 

  • Griffain 규모
    • 가격: $0.06047

네이티브 토큰 GRIFFAIN은 2억 8천만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달성, 일일 거래량은 4천만 달러 이상을 꾸준히 유지

 

3. SUI

1) SUI Agents

SUI Agents는 SUI의 첫번째 AI 프로젝트로, 생성형 AI와 Web3 기술을 결합하여 소셜 미디어 페르소나, 디지털 콘텐츠 제작, 커뮤니티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on-chain AI Agent를 개발하는 플랫폼입니다. 사용자가 AI 에이전트를 쉽게 생성, 토큰화, 거래 및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layer-1 블록체인인 SUI를 기반으로 운영되기에 해당 체인의 강점을 그대로 이어갈 수 있습니다.

 

SUI Agent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캐릭터와 환경을 위한 Gen-AI: 사용자가 immersive digital worlds와 assets을 쉽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 가상 현실, 디지털 콘텐츠 프로젝트를 위한 독특한 캐릭터, 환경, 자산을 생성합니다. 제로코드로써 기술적 전문 지식 없이도 사용자가 정교한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소셜 미디어 AI 에이전트: 마케팅, 참여유도, 상호작용을 위한 AI 기반 트위터 페르소나, 챗봇, 인플루언서를 커스텀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 Community-Driven Public Chats: 관련도, 인기도 또는 태그별로 분류된 AI가 중재하는 공개 토론에 참여 가능합니다.
  • SUI Chain

SUI Blockchain의 강점은 초당 높은 거래 처리량을 통해 AI agent의 많은 양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Low Latency를 특징으로 하여 빠른 처리 속도는 비교적 매끄러운 UX 제공하고, 높은 확장성을 기반으로 DApp개발 혹은 AI Agents 및 콘텐츠 생성을 원활히 지원합니다.

  • SUI Agents 마일스톤
2024 Q4  SUI Agents 생성 인프라 출시 및 초기 사용자를 위한 TGE(Token Generation Event) 진행
2025 Q1 SUI Agents AI-GENS 플랫폼의 메인넷 전체 출시
SUI 에이전트의 통합 온체인 마켓플레이스를 갖춘 고급 레이어-3 기술
2025 Q2 제한된 카테고리와 태그로 공개 AI 대화 테스트
$SUIAI 토큰을 플랫폼에 통합하여 고급 커스터마이징 및 토큰 페어링 기능 제공
2025 Q3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핵심 기능을 갖춘 완전한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출시 $SUIAI 토큰을 사용한 고급 커스터마이징 기능 배포 우수 프로젝트를 위한 IDO 메커니즘 활성화

 

  • SUI Agents 규모
    • 가격: $0.01704
    • 시가총액: $874K

SUIAI 토큰의 총 공급량은 6,679만 개, 토큰 배분은 시드 라운드(22.94%), KOL(7.65%), 팀(4.97%), 유동성(15.29%), 마케팅/개발(16.4%) 등으로 구성

 

결론

Web2 AI 에이전트는 LLM의 진화를 통해 단순 작업 자동화에서 복잡한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Augmented LLM, Prompt Chaining, Routing 등 다양한 아키텍처를 통해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혁신하고 있으나, 중앙화된 데이터 처리와 검열 가능성,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 구조적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Web3 AI 에이전트는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과 결합하여 데이터 주권 보장, 검열 저항성, 투명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우위를 논하는게 아닌, 사용자 중심의 자율적 경제 생태계 구축이라는 본질적 가치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현재 Ethereum/Base를 중심으로 한 Virtual Protocol과 G.A.M.E, Luna, SUI의 SUI Agents, Solana의 Griffain 등 각 체인별 프로젝트는 AI 에이전트의 인프라, 플랫폼화와 특화된 에이전트 서비스 구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AI 에이전트가 스마트 컨트랙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DeFi 자동화, 크로스체인 자산 관리, NFT 생성/거래 등에서 보여주는 성과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진정한 Mass Adoption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제도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onchain Agent의 실시간 처리 능력 향상, 개인화 서비스와 프라이버시 보호의 균형, 멀티 에이전트 협업 표준화 등 기술적 진보가 필요하며, 규제 프레임워크 정립과 사용자 인식 전환이라는 사회적 장벽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AI의 자율성과 블록체인의 신뢰성이 결합된 Web3 에이전트 생태계는 이미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이 되며 다양한 Web3 AI 에이전트의 시장 가치는 상당한 돌파구를 달성했습니다. Ai16z는 Eliza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26억 달러의 시장 가치에 도달했고, Virtuals protocol는 G.A.M.E.을 통해 50억 달러의 시장 가치에 도달했습니다. 소개하지 않은 AI 프로젝트인 RIG를 통한 ARC의 시장 가치는 Zerepy 및 기타 프레임워크를 통한 Zerebro의 시장 가치는 각각 4억 5천만 달러와 7억 8,300만 달러에 도달했습니다.

 

Web3 AI Agent의 미래 규모를 어떨까요?

비트코인의 시장가치가 금시장 전체 가치의 약 10% 정도 된다고 합니다. Web2의 AI Agent 시장의 미래 규모를 파악하면 해당 규모의 10%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어느 보고서에 따르면 AI 에이전트 시장 규모는 2024년 51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471억 달러로 성장한다고 예측하였습니다. 10%는 최소라고 생각하며 web3의 고유한 장점을 고려하면 시장 규모는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는 무시 못할 규모이며 충분히 투자 할만한 분야일 것입니다.